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5

야자나무 속에서 자란 고구마(Sweet Potato)는 어떻게 다를까? 고구마가 야자나무 속에서 자라는게 가능할까요? 양분을 공급해 줄 흙이 없이 야자나무 둥치 속에서 자라난 고구마는 어떤 맛일까요? 흙에서 자란 고구마처럼 달고 맛일까요? 야자나무 둥치 속에서 고구마 줄기와 잎이 밖으로 뻗어 나가면서 꽃을 피우니 둥치 속 어딘가에 고구마가 숨어있다는 얘기가 되는데요. 아, 세상에! 이런 일도 다 있네요. 선인장과 고구마 줄기가 마구 엉켜있는 야자나무 둥치 안에서 고구마를 발견할 수 있었어요. 정말 기대하지 않았던 고구마가 수확되면서 소공녀는 살짝 고민에 빠지는데 이유가 무엇일까요? 야자나무 속에서 수확된 고구마(Sweet Potato)어느날, 정원사 쥬앙이 심심했나봐요. 난데없이 야자나무 둥치 속을 손으로 이리저리 휘젖더니 고구마 두 개를 발견해내어 소공녀에게 건네주었어요... 2024. 5. 20.
아가판투스(Agapanthus, Lily of the Nile) 담장 하나를 사이에 둔 바로 옆집 마이크씨네 정원에서 아가판투스(Agapanthus)가 피어나기 시작하니 앤이 고개를 갸우거립니다. 왜냐하면 앤의 정원에서는 아직 아가판투스가 피어날 어떠한 조짐도 보이지 않기 때문이였어요. 해마다 보라색과 흰색의 크고 둥그스럼한 꽃을 활짝 피워 소공녀의 지상낙원을 만들어주던 아가판투스가 올해는 무슨 일일까요? 아가판투스(Agapanthus, African lily)아가판투스는 따듯한 곳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 둥근 뿌리 식물이에요. 아가판투스(Agapanthus)의 영어명은 아프리칸 릴리(African lily)이구요. 아가판투스가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꽃대가 올라오는데 이렇게 꽃을 피워 여름내 피고 지고 또 이어서 꽃을 피우면서 아름다운 지상낙원을 만들어주는 것이랍니.. 2024. 5. 17.
서양란(Tropical orchid, Orchid) 퀸따의 집 거실에는 작은 정원이 하나 있는데 ‘앤의 정원’이라고도 하고 ‘양란 정원(Orchid Garden)’이라고도 부른답니다. 양란은 추위에 약하여 실내에서 한 공간을 차지하게 된 것인데요. 거실에 들어설때마다 화려한 꽃을 피운 양란이 반겨주니 작은 행복이 큰 행복을 이루나 봅니다.서양란, 양란(Tropical orchid, Orchid)난초과 식물 중 열대와 아열대에서 자라는 종류를 총칭하여 서양란(Tropical orchid, 西洋蘭)이라고 해요. 남아메리카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주로 유럽에서 개량되었기에 서양란이라고 해요. 줄여서 양란이라고도 불러요. 추위에 약한 화초여서 한국에서는 온실에서 재배하고 종과 종, 속과 속 사이의 인공교배 종이 많아서 700속 25,000 종이 알려져 있어요... 2024. 5. 16.
재운을 부르는 도깨비 방망이 선인장 '용신목(Blue-candle cactus)' “금 나와라 와라 뚜욱딱! 은 나와라 와라 뚜욱딱!”. 아니? 도깨비 방망이처럼 생긴 이 선인장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당신의 집으로 재운을 가져다 줄 부적같은 식물이 있다면 키워 보시겠어요? 파란색과 녹색에 은색 빛이 어우러진 오묘한 색감이 요술 부리는 도깨비 방망이를 연상시키는데요. 이것은 도깨비 방망이 선인장이라고 불리는 용신목이에요. 집안에 용신목이 있으면 금은보화가 굴러들어올 거 같지 않나요? 지상낙원에 우뚝 서 있는 이 용신목은 오래된 나이만큼이나 신령스러운거 같아요. 용신목을 바라보며 크고 작은 소원을 빌때마다 이루어지는 기적을 경험한답니다. 기둥주 선인장 ‘용신목(Blue-candle cactus)’이스턴 정원에서 1층 서재로 연결되는 문 입구에 거대한 용신목 선인장이 우뚝 서 있는데 그래서.. 2024. 5. 15.
뱀파이어의 반려식물 '블러드 베리(Blood Berry)' 아침 산책을 하던 중에 기둥주 선인장 용신목(Blue-candle cactus)의 그늘 아래서 자라고 있는 작은 나무 하나를 발견했어요. 이 나무가 그동안 눈에 띄지 않았었는데 동글동글하게 맺힌 밝은색 붉은 열매가 눈에 들어온 거에요. 거대한 선인장 용신목의 그늘에 가려져 있으니 햇빛도 못받고 물도 충분하지 않았는데 그 틈새에서 자라고 있는 작은 나무가 신기했어요. '붉은 열매를 맺은 이 나무의 정체가 무엇일까요?' 궁금하여 식물도감을 찾아보았어요. 블러드 베리(Blood Berry)가 뱀파이어의 반려식물일까?거대한 기둥주 선인장 아래 그늘진 곳에서 자라기 시작했던 정체불명의 식물이 어느새 작은 나무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어요. 한동안 '이게 무슨 식물일까?' 고개를 갸웃거리며 지나치곤 했는데 가지 위로.. 2024. 5. 14.
식물의 학명(Scientific name)은 어떻게 표기될까요? 식물의 학명은 어떻게 표기되는 걸까요? 학명은 라틴어화된 모든 분류명칭을 의미하고, 종명(Specific name)은 속명(genus), 종소명(specific epithet). 명명자명(author's name)으로 표시된 종의 이름을 의미해요. 즉, 식물의 학명은 속명과 종명의 이명법을 사용하고 종명 뒤에 그 학명을 처음 발표한 명명자의 이름을 넣은 경우도 있다는 거에요. 사람에 비유하면, 성(속명), 이름(종명)이 되는 셈이에요.식물의 학명(Scientific name)식물의 학명 표기 방법은 속명+종명의 이명법을 사용해요. 첫째 단어가 그 종이 속하는 속명이고(첫 글자가 항상 대문자로 시작), 둘째 단어가 그 종의 고유의 이름으로 종명인데 항상 소문자로 시작한답니다. 한 종의 학명은 속명과 종명의.. 2024. 5. 13.
728x90
반응형